보도 관련 자료 Press Relations

'부산시가 환일본해 경제권의 중심지가 되기 위해서는 해저터널이 필요하다' 부산시가 올해 한일 해저터널 건설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연구용역에 나선다. 일본 영사관 앞의 평화 소녀상 설치로 양국의 외교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해저터널 건설이 공론화되면 찬반양론이 뜨거워질 전망이다.

한일 해저터널 일본측 시발점인 규슈 사가현 가라쓰의 해저터널 공사 현장.

a753a8e9

부산시는 10일 서병수 시장이 참석한 중 열린 '2017년 정책콘서트'에서 '서부산권 발전전략 중 하나인 한일해저터널 건설을 위한 기초연구를 3 달부터 1년간 실시한다”고 밝혔다. 해저터널 건설은 시가 2015년 발표한 '2030 서부산 글로벌 시티 그랜드 플랜'의 50대 프로젝트 중 하나다.

 

부산이 한국과 북한과 중국·일본·러시아를 연결하는 환일본해 경제권의 중심지가 되기 위해서는 해저터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장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고용비는 1억원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일한 해저터널이 부산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민의식조사▷실현가능한 루트이다. 먼저 부산발전연구원(BDI)은 2009년 부산 강서구~가덕도~일본 쓰시마~이키의 섬~후쿠오카(222.64㎞·사업비 92조원)의 루트를 제시한 바 있다. 일본 측은 규슈 가라쓰~이키의 섬~쓰시마~거제도~가덕도~부산(288㎞·사업비 100조원) 노선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쇠는 해저터널에 대한 국민의 정서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해저터널이 경제교류뿐만 아니라 한일공동번영의 상징적인 존재가 될 것”이라는 주장과 “일본이 대륙에 진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부산에는 실익 는 없다”는 반론이 호각에 대항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부산소녀상 설치에 한일외교 갈등이 격화된 것도 해저터널의 부정적인 인식 확산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시 송삼정 서부산개발본부장은 “한일 관계는 변수가 많이 용역 자체가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한번 해저터널 건설이 부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계산해 미루」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한일 해저터널은 국가 차원의 지원이 없으면 현실 불가능한 만큼 장기 과제로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해 11월 부산경제재생시민연대가 개최된 한일해저터널 토론회에서 중앙대학 호재완(도시경제전공) 교수는 “한일해저터널이 65조원 이하의 비용으로 건설돼 하면 경제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제신문 2017년 1월 10일 기사 번역

  • 보도 관계 자료

Q&A

페이지의 맨 위로